브라질의 버스는 내부구조가 무척 독특하다. 버스에 올라타면 우리나라 지하철 개찰구와 비슷하게 생긴 회전대가 있다. 기둥에 붙은 체크기에 카드를 대고 밀어서 입장하거나 카드가 없는 여행자들은 버스 안에 높은 자리에 앉아있는 차장에게 버스비를 지불하고 타야한다. 짐이 없을 때는 별 상관없지만 큰 배낭을 메고 있을 때는 배낭을 이 회전대 위로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통과하기가 무척이나 힘들다.
여행 후에 1960~70년대 히우의 빈민가를 배경으로 갱들의 이야기를 그린 '시티 오브 갓'이라는 영화를 보았다. 그 영화에서 선량했으나 연인이 갱들에게 당하자 복수하기 위해 자신이 갱이 되어버린 인물이 버스안에서 돈을 받는 차장이었다. 신이 축복한 듯한 아름다운 풍광과 기후를 가진 도시지만 신이 버린 듯 암울하고 미래가 없는 빈민가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보고 나니 여행 당시의 히우가 생각나 마음이 우울해졌었다.
버스 내부에 있는 회전대. 버스비를 받는 차장도 찍고 싶었지만 '감히' 그러지 못했다.
유럽에서 남미 사이의 시차와 장거리 비행으로 인한 피로, 어제의 긴장감 등으로 아침이 한참 지나서야 숙소를 나올 수 있었다. 목적지는 당연히 코르코바두 산 정상의 거대 그리스도 상이다.
코르코바두산 정상으로 가는 트램을 타는 정류장
내가 히우에 도착했을 때는 8월말, 겨울의 끝이라 비수기였음에도 그리스도상을 보기위해 꽤 많은 관광객들이 트램을 기다리고 있었다.
산정상으로 가는 트램에서 마을이 보였다. 트램을 타지않고 걸어서 갈 수도 있다는데 이 지역은 우범지역이라 매우 위험하다고 하니 트램 이용료가 비싸다 생각되더라도 절대 걸어서 가려고 하면 안된다. 여행에서 최우선은 안전이다.
트램이 산정상으로 가는 중에 브라질 악단이 나와서 통로에서 공연을 한다. 신나는 브라질풍의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를 부른다. 당연하게도 공연은 트램 이용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끝나고 공연료를 걷는다. 공연 중에 관광객을 불러내 춤을 추거나 노래를 시키기도 하는데 신이 나서 호응하게 되면 꼼짝없이 공연료를 지불해야 한다. 얼마되지 않는 돈인데 어떤가싶기도 하지만, 길거리 공연과 달리 내 선택의 여지가 없는 일방적인 공연으로 관람료를 요구하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끝내 무시했다.
트램에서 내려 계단을 올라가면 그리스도상 뒤쪽으로 도착하게 된다. 시원하게 펼쳐진 대서양과 멀리 히우의 유명한 해변들이 보인다. 해변쪽으로는 높은 건물과 좋아보이는 리조트 풍의 건물도 있지만 산쪽으로는 빈민가로 보이는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다.
히우 지 자네이루의 랜드마크인 이 그리스도상은 이 곳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 뉴스, 잡지 등등 수많은 매체를 통해 자주 알려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히우에 간다면 꼭 보리라 여행전부터 계획했던 곳이었으나, 실제로 보니 별다른 감흥이 생기지 않았다.
높이가 40m인 이 그리스도상은 1930년대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물론 700m 높이의 산 정상에 이처럼 커다란 상을 만들기가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사실 당시에도 대단히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오히려 이 거대한 그리스도상이 산정상에서 인간들을 내려다보며 사랑과 축복을 내리는 듯 두 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음에도 아래에서는 극도의 빈부격차와 살인과 폭력, 온갖 욕망으로 들끓는 도시가 되어버린게 아이러니했다.
이 곳의 진정한 가치는 여기서 내려다보는 히우의 멋진 풍경이었다. 복잡한 해안선과 섬들이 펼쳐진 바다, 갑자기 우뚝 솟은 바위산들이 독특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세계 3대 미항이라는 나폴리, 시드니, 히우 지 자네이루뿐만 아니라 베네치아, 홍콩, 하코다테 등등 아름답기로 손꼽히는 항구들을 모두 비교해보더라도 나에게는 여기서 본 히우의 풍경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멀리 '빵 지 아수까르'가 내려다 보인다.
그리스도상을 내려 온 다음에 찾은 곳은 이빠네마 해변이었다. 히우에는 '코파카바나'와 '이빠네마'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해변이 둘 있다. 그 중에 이빠네마를 찾은 이유는 '이빠네마의 여인'이라는 유명한 보사노바 곡 때문이다. 제목은 모르더라도 들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들어 본 기억이 있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다.
일정을 늦게 시작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리스도상을 보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데다 이빠네마 해변이 생각보다 멀었기 때문에 해변에 도착했을 때는 해가 지고 있었다. 겨울의 끝자락이어서인지 해가 기울자 날씨가 꽤 차가워졌서, 해변에는 늘씬한 남미의 비키니 미녀는 커녕 사람도 별로 없었다. 하지만 선남선녀들로 들끓는 해변보다 해가 지는 한적한 해변이 무척 마음에 들었다.
사실, 해변만으로 평가하자면 히우의 해변들은 그다지 좋지 않다. 파도도 세고, 모래도 곱고 부드럽지 않다. 유명한 휴양지의 해변과 비교하면 실망할지도 모른다. 이 곳의 해변들은 휴양이 아니라 놀고, 먹고, 즐기는 그런 해변으로 유명한 것이다. 이 해변이 내 마음에 든 것도 '이빠네마의 여인'이라는 음악과 계절탓으로 한적했던 해변, 해질녘의 고즈넉함 때문일 것이다.
히우에서 저녁 7시 넘어 돌아다니는 것은 위험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탓으로 금새 어두워진 거리에 마음이 급해졌다. 숙소로 돌아오다 비교적 안전하고 번화해 보이는 거리에서 저렴해 보이는 식당을 찾아 들어갔다. 어제와 마찬가지로 싸지는 않지만 양은 엄청났다. 양도 많고 음식도 어울리지 않는 것같은 여러가지 음식들이 혼합되어 있었다. 맛있게 먹는데 부족함은 없지만 아직 적응이 되지는 않았다.
양념된 면에 프라이드 치킨, 감자 튀김, 야채이 올라가 있는 음식을 먹었는데, 저렴한 식당에서 파는 대부분의 음식이 커다란 접시에 면이나 찐 쌀을 담고, 그 위에 반찬이 되는 여러가지 음식들이 올려져 있다.
아마 남미에서의 첫 여행지가 이곳이 아니었다면 여기서 훨씬 오래 머물렀을 것이다. 그때는 분명 매력적으로 느끼면서도 위험에 대비해 날이 바짝 선 신경 때문에 오래 머무르질 못했다. 겨우 2박 3일 있었을 뿐이고, 그마저도 제대로 돌아다닌 것은 하루뿐이었다. 그 아쉬움 때문인지 아니면 위험한 것이 가지는 매력 때문인지 나는 다시 이곳에 가고 싶다.
아름다운 풍광과 좋은 기후, 친절한 사람들의 도시이면서도 세계에서 손꼽히는 위험한 도시, 신이 축복한 도시이면서 또한 신이 버린 도시... '시티 오브 갓'이라는 영화를 본 뒤로 이 도시를 생각하면 마음이 애튿해진다.
'세계여행(2012년) > 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땅고- 부에노스 아이레스(2) (0) | 2015.03.21 |
---|---|
남미의 파리 - 부에노스 아이레스(1) (0) | 2015.03.18 |
악마의 목구멍 - 이구아수 폭포(아르헨티나) (0) | 2015.03.15 |
폭포 앞에서 겸손해지다 - 이구아수 폭포(브라질) (0) | 2015.03.14 |
남미에 도착하다 - 히우 지 자네이루 (0) | 2015.03.11 |